“……가서 은효공주를 모시고 와.” 한려왕의 그림자, 오로지 한려의 왕을 위해 살아온 남자, 여주민. 한려왕과 같은 어머니를 두었지만 그 사실을 꿈에도 모르는 황제국의 적통공주, 예여령. “어찌 제가 감히 마마를 똑바로 마주 서서 알현하겠나이까.” “그만두십시오. 원래대로 돌아와 주세요. 부탁입니다, 아니, 명입니다.” “그럼…….” 갑자기 주민이 방금 전까지 굽실거리던 사람답지 않게 똑바로 섰다. 그러더니 여령의 앞으로 슬금슬금 다가왔다. 그러더니 여령의 코앞에 서서는 그녀를 빤히 내려다보기 시작했다. 그의 태도에 일말의 망설임도 없기에, 여령은 이 사람이 방금까지 감히 저와 마주 설 수 없다고 극구 머리를 조아리던 이가 맞나 의심스러울 지경이었다. 혹시 또 자신을 놀린 건가 싶어 고개를 살짝 꺾는데, 주민의 목소리가 다시 들려왔다. “그럼…….” 잠깐, 목소리가 왜 이리 가까운 걸까. 새삼 정신을 차리고 보니 주민의 얼굴이 너무나 가깝다. 말을 뱉은 입술이, 호흡하는 코가, 그리고 유난히 그윽한 눈이, 저 깊은 눈이, 지나치게 가깝다. “공주로 대하지 않아도 됩니까?”
🌟 로판 소설 중 상위 56.12%
평균 이용자 수 151 명
* 100명이 선택하면 '명작' 칭호가 활성화 됩니다.
'명작'의 태양을 라이징 해보세요.
귀신 들린 아이. 소서아. "네가 죽였어, 네가. 귀신 들린 년이……." 그녀에게 닿은 사람은 피가 터져 죽었다. 저주받은 힘이었다. 어둠 속에 버려진 비참한 삶이었다. 어느 봄날, 그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북주태가의 가주님이시다.” '노, 놓아……!' 소서아는 팔목을 힘껏 비틀었다. 허나, 뱀처럼 똬리를 튼 사내의 손아귀를 조금도 벗어나지 못했다. 하릴없이 경직되었다. 숨도 쉴 수가 없었다. 심장이 발작하듯이 뛰었다. 머릿속에 해일과 같은 파도만 쳤다. “……!” 그러다 일순 잠잠해졌다. 거짓말처럼. “쓸 만하겠구나.” 분명…… 제 사악한 기운을 누르고 있는 게 분명한, 저, 사내. "나를 따라가기 싫다면 말하거라. 네가 다른 이의 수중에 들기 전에 죽이고 가도록." 그의 도구로, 그를 위하여 살아갈 수 있는. 그건 분명 구원이었다. 그럴 것이었다.
“우리가…… 한주혁 상무님이 원하는 걸 더 충족시켜드리면요?”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는 알고 있는 건가?” “……제 몸이죠.” “한 번으론 부족해.” 지독히도 낮은 음성이 또 한 번 효진의 귀에 꽂혔다. “일주일에 한 번. 일 년 동안.” 안심이 된다. 바랐던 상황이니까. 하지만 무언가 마음에 쿵 내려앉는다. 효진은 그 충돌감을 겨우 이겨낸 후, 조금 전 그랬던 것처럼 고개를 천천히 끄덕였다. “중간에 도망칠 거라면.” 그의 손이 떨어졌다. “지금 도망쳐.” 주머니에 손을 꽂아 넣은 그를 올려다보면서. 효진은 단호하게 고개를 저었다. 관계가, 시작되었다.
“……가서 은효공주를 모시고 와.” 한려왕의 그림자, 오로지 한려의 왕을 위해 살아온 남자, 여주민. 한려왕과 같은 어머니를 두었지만 그 사실을 꿈에도 모르는 황제국의 적통공주, 예여령. “어찌 제가 감히 마마를 똑바로 마주 서서 알현하겠나이까.” “그만두십시오. 원래대로 돌아와 주세요. 부탁입니다, 아니, 명입니다.” “그럼…….” 갑자기 주민이 방금 전까지 굽실거리던 사람답지 않게 똑바로 섰다. 그러더니 여령의 앞으로 슬금슬금 다가왔다. 그러더니 여령의 코앞에 서서는 그녀를 빤히 내려다보기 시작했다. 그의 태도에 일말의 망설임도 없기에, 여령은 이 사람이 방금까지 감히 저와 마주 설 수 없다고 극구 머리를 조아리던 이가 맞나 의심스러울 지경이었다. 혹시 또 자신을 놀린 건가 싶어 고개를 살짝 꺾는데, 주민의 목소리가 다시 들려왔다. “그럼…….” 잠깐, 목소리가 왜 이리 가까운 걸까. 새삼 정신을 차리고 보니 주민의 얼굴이 너무나 가깝다. 말을 뱉은 입술이, 호흡하는 코가, 그리고 유난히 그윽한 눈이, 저 깊은 눈이, 지나치게 가깝다. “공주로 대하지 않아도 됩니까?”
황제가 오랑캐에게 빚을 졌다. 황제는 빚을 갚는 대신 자신의 누이를 넘겼다. 자신의 유일한 친누이, 선대황의 하나뿐인 적통 공주를. “어찌 제게 이러실 수 있습니까. 어찌 제게……. 부모님을 생각하신다면 어찌!” 정화가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소용없었다. 옷이, 벗겨졌다. 야만스러운 오랑캐가 참으로 제 옷을 쥐어뜯어 버린 것이었다. 놀라고 당황하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울렸다. 그럼에도 류신은 멈추지 않았다. 거침없는 손길로 그녀를 더 벗겨 냈다. “무어 하는……!” 정화는 뒤늦게 그를 막으려 들었지만, 그녀는 기이한 흉터로 가득한 오랑캐의 손을 차마 쥐지 못했다. 그에게서 벗어나려 했지만 그 역시 무리였다. “안도 보아야지. 비싼 값 대신 받아 가는 것인데.” 류신은 간단하게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보다 더 여유로운 미소를 걸었다. “내 후계를 낳을 만한 몸이 되는가 안 되는가, 잘 따져 보아야지. 안 될 것 같으면 값을 얹어 주셔야겠지요, 폐하.”
어느 날, 황제가 바뀌었다. “너의 혼약자는 황제였다. 이락성위 문요가 아니라, 황제.” 그녀는, 황후가 되기로 약속된 여인이었다. “만약 문요가 태자 신분으로 죽고 내가 황위에 올랐다면, 너는 누구의 처가 되었을까.” 하늘이 뒤집혔다. “문요가 조금 늦게 죽은 것뿐이다.” 그녀는 그를 노려보았다. 세상을 다 훔쳐 간 걸로 모자라 기어이 제 집안까지 탐내는 더러운 찬탈자. 제 혼약자를 죽인 원수. “수백은약.” 제 혼약자의 아우. “이제 내가 황제다.”
음탕한 년. 신녀 주제에 날 사내로 여기고 있질 않느냐? 내가 질릴 때까지. 너는 못 죽는다. “벗어라.” 들려온 목소리에, 서하는 온몸에 오한이 지나는 걸 느끼며 반사적으로 담견을 향해 고개를 쳐들었다. 그와 함께 그녀의 눈이 부풀었다. 그녀는 꽤 오래도록 담견을 올려다보았다. 그 사이 눈물은 더 많이 고였지만 그녀는 끝내 눈물을 떨어뜨리지 않았다. 피가 날 정도로 세게 입술을 깨물어 온 힘을 다해 참다가, 담견에게서 시선을 치워 버렸다. “안 벗나? 네가 벗지 않으면 네 잘난 백성들이 죽는다, 신녀야.” 말을 마치기가 무섭게 또 한 차례 피의 꽃이 날렸다. 코에 진득하게 붙어 오는 혈향에, 서하의 정신이 혼미해졌다.
음탕한 년. 신녀 주제에 날 사내로 여기고 있질 않느냐? 내가 질릴 때까지. 너는 못 죽는다. “벗어라.” 들려온 목소리에, 서하는 온몸에 오한이 지나는 걸 느끼며 반사적으로 담견을 향해 고개를 쳐들었다. 그와 함께 그녀의 눈이 부풀었다. 그녀는 꽤 오래도록 담견을 올려다보았다. 그 사이 눈물은 더 많이 고였지만 그녀는 끝내 눈물을 떨어뜨리지 않았다. 피가 날 정도로 세게 입술을 깨물어 온 힘을 다해 참다가, 담견에게서 시선을 치워 버렸다. “안 벗나? 네가 벗지 않으면 네 잘난 백성들이 죽는다, 신녀야.” 말을 마치기가 무섭게 또 한 차례 피의 꽃이 날렸다. 코에 진득하게 붙어 오는 혈향에, 서하의 정신이 혼미해졌다.
그가 손을 내민다. 왜일까. 왜 이렇게 눈이 부신 걸까. 너무도 강해. 너무도 눈이 부셔. 빛 속에서, 빛 덩어리가 내게 빛을 뿜어. 내게로 마구 쏟아져, 견디기 벅찰 정도로. 대체 왜……. “어? 그쪽은!” “하아.” 규연은 눈부신 빛을 바라보며 한숨을 몰아쉬었다. 그러면서 빛을 향해 손을 뻗었다. 옷자락이 손에 걸렸다. 규연은 작은 손을 주먹으로 뭉쳐 움켜잡았다. “있잖아요…….” 가녀린 음성이 방 안에 낮게 울렸다. “저, 다른 남자 손을 좀 타야 할 것 같은데.” 놓치지 않겠다는 듯 옷자락을 세게 잡는다. “같이 자주지 않으실래요?”
“이름은 이휼이라 하오.” 처음 만났을 때의 기억을 닳도록 꺼내 본 지도 어느덧 칠 년째. “보통은 저하라고 부르더군.” 감히 바라지도 않았던 날. 세자빈이 되었다. “김 상궁은 문을 열라.” 꿈에 그리던 임의 목소리가 소녕의 귀에 꽂혀 왔다. 한데 기대했던 목소리가 아니다. 나직하지만 분명 분에 찬, 차가운 목소리. 소녕은 혼자 있을 때와는 다른 떨림을 느끼며 눈을 마구 흔들었다. “저하, 하명하시옵소서.” 밖을 지키던 상궁이 문을 열고 응답했다. 휼은 제 옷고름을 풀며, 보지도 않고 말했다. “지금부터 그 문을 닫지 말고 내가 이 계집에게 어찌하는지 똑똑히 보라.” “저, 저하…!” “그리고 이 계집이 어찌 울어 댔는지, 드높으신 좌의정 나리께 똑똑히 전하라.” 비아냥거리는 목소리에 소녕의 눈이 충격으로 물들어 굳었다. 좌의정 송재학. 소녕의 아비. “전 세자빈 황씨를 폐빈시키고 사약을 내리게 한 것이.” 아비는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바로 대답했다. 소녕은 제가 세자빈이 되기 전까지 이 빈궁의 주인이었던 이가 거론되자 흠칫 놀랐다.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한주혁 상무님이 원하는 걸 더 충족시켜드리면요?”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는 알고 있는 건가?” “……제 몸이죠.” “한 번으론 부족해.” 지독히도 낮은 음성이 또 한 번 효진의 귀에 꽂혔다. “일주일에 한 번. 일 년 동안.” 안심이 된다. 바랐던 상황이니까. 하지만 무언가 마음에 쿵 내려앉는다. 효진은 그 충돌감을 겨우 이겨낸 후, 조금 전 그랬던 것처럼 고개를 천천히 끄덕였다. “중간에 도망칠 거라면.” 그의 손이 떨어졌다. “지금 도망쳐.” 주머니에 손을 꽂아 넣은 그를 올려다보면서. 효진은 단호하게 고개를 저었다. 관계가, 시작되었다.